보도자료

보도자료 페이지

녹색 특허기술´로 ´글로벌 100조 시장´ 선점 나선다

  • 2009-03-09


지난 2006년 석유합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식물성 플라스틱 소재(제품명: 에콜그린 바이오폴리머, Ecolgreen Bio-Polymer, www.ecolgreen.com)를 국내 최초로 개발, 국내·외에 특허를 출원한 바 있는 SK네트웍스(대표: 이창규)가 최근 기술력 향상을 위한 R&D 강화와 함께 제품영역 확대,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SK네트웍스의 ‘식물성 플라스틱 소재 개발기술’은 정부가 발표한 녹색성장을 위한 10대 환경기술 중 3대 환경기초원천기술이 요구하는 '▲PVC 대체 친환경 소재 및 독성물질 저감기술▲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 대체 신소재'라는 요건을 완벽히 충족시키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SK네트웍스는 이처럼 녹색성장을 위한 기술개발에 국가적인 관심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그동안 지속적인 R&D를 통해 식물성 플라스틱의 제품력 향상에 필수적인 '내열성'을 종전의 2배 수준인 110℃까지 끌어올리는데 성공했으며, 이에 따라 기존에는 각종 용기, 포장재, 데코시트, 유아/욕실용품 등 23개 분야에 머물렀던 제품영역을 의류, 필터, 로프, 내열컵 등 11개 분야가 추가된 총 34개 분야로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SK네트웍스는 향후 휴대폰, 노트북, PC, 가구 등에 적용가능한 수준인 130℃까지 '내열성'을 한단계 더 향상시켜 제품영역을 대폭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식물성 플라스틱의 제품화 과정에서 30여개의 중소업체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적극적인 공조체제를 구축하는 등 대·중소기업간 상생을 위해서도 남다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도 활기를 띠고 있다. 이미 미국 JOSIE MARAN社 등에 화장품 용기류를 공급하고 있는 SK네트웍스는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 해외 10여개국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사업협력 및 수출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에 대한 관심과 규제 강화 추세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도 식물성 플라스틱 사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51개주 중 절반이 넘는 31개주에서 합성 플라스틱에 대해 사용을 규제하고 있거나 규제를 검토 중이며 유럽과 일본 등 기타 선진국들 또한 2005년 교토의정서 발효 이후 폐기물 부담금 인상, 합성수지 제품 수출입 제한 등을 통해 정부차원에서 법적인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100조원이라는 천문학적 규모의 범용 플라스틱 시장은 점차 친환경 소재로 대체될 것으로 보여 식물성 플라스틱 사업의 폭발적인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한편, SK네트웍스는 식물성 플라스틱 외에도 ▲자트로파(바이오디젤 원료)/고무 플랜테이션 사업, ▲우뭇가사리 등 홍조류 이용 천연펄프 사업, ▲친환경 석탄(Green Coal) 사업, ▲친환경 경제운전 서비스 사업(자동차 원격진단) 등 다양한 녹색사업 또는 기존 사업 녹색 연계 등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향후 회사의 미래 성장의 한 축으로 녹색관련 사업을 적극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